오늘의 포스팅 주제로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 하실 만한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한 모의계산 어플리케이션을 들고 왔습니다. 서론으로 실업급여에 대해 간단히 말씀 드리자면, 실업급여란 근로자가 실직을 한 경우에 일정한 기간 동안 실업자에게 지급되는 급여를 말합니다.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직촉진수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직급여란 고용보험에 가입된 사업장에서 180일 이상 근무하다가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 없이 실업한 경우에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이며, 취직촉진수당은 실업자의 구직활동을 위해 지급되는 실업급여를 말합니다. 때문에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해 모의계산을 해 보면서 나는 실업급여를 얼마정도 받을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실업급여 계산기 모의계산 방법, 포스팅 시작합니다.
■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한 모의계산 방법
1)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접속하신 뒤 "실업급여 계산기"를 검색하시고 위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실업급여 계산을 하는 방법으로는 상여금, 연차수당 계산 등을 제외한 간편계산 방법이 있고, 이를 모두 포함한 상세계산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실업급여 간편계산기부터 이용해 보겠습니다.
3) 실업급여 모의계산을 위해 주민등록상의 생년월일과 직장에서의 직전퇴사일, 직전월급여, 고용보험 총가입기간을 입력합니다. 또한 장애인 해당여부에도 체크를 해 줍니다.
4) 저는 예시를 보여 드리기 위해 위 화면처럼 예시를 들었습니다.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은 약 11년입니다. 본인의 해당 사항대로 각 정보를 기입하고 "계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5) 실업급여 간편계산기 모의계산 결과 총 210일 동안 10,500,000원에 해당하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모의계산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간편계산은 대략적인 실업급여 수치를 보여줄 뿐이지 보다 정확한 실업급여 계산을 위해서 상세 계산기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6) 다시 첫 화면으로 돌아와 실업급여 상세계산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7) 보다 정확한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을 위해 아까와 동일한 본인의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8)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 적용기준 "TIP" 버튼을 클릭하면 위 화면처럼 상세한 피보험기간의 산정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보험기간 A와 B에 대한 내용을 읽어 보시고 나에게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하셔야 보다 정확한 실업급여 모의계산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9) 직전 3개월의 평균임금 산출금액과 직전 1년에 대한 상여금과 연차수당을 입력한뒤 "계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10) 실업급여 모의계산 결과 예상수급액은 총 23,365,230원이 나왔습니다. 상여금과 연차수당이 포함되니 아까의 실업급여 간편계산기와는 차이가 많이 나는 모의계산 결과가 나왔습니다.
11) 실업급여 계산기 모의계산 어플의 "자료실"을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실업급여의 기본 정의와 지급대상, 지급기준, 지급액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한 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실업급여 계산기 모의계산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포스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하나씩 하나씩 포스팅을 진행하며 잘 몰랐던 부분에 대해서 조금씩 알게 모르게 공부가 되는 느낌이 듭니다. 저도 모르는 분야에 대해 공부할 겸 여러분들께 많은 알짜배기 정보들을 공유드릴 겸 앞으로도 보다 열심히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